[파이낸셜뉴스] 정부가 오는 30일 글로벌 항공산업의 친환경 에너지 화두로 떠오른 지속가능항공유(SAF) 시장 활성화 방안을 발표한다. 특히 우리나라도 유럽연합(EU), 일본 등에 이어 항공기에 단계적인 SAF 의무 사용 비율을 제시할 가능성이 커 업계에 파장이 예상된다.
18일 재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와 국토교통부는 이달 30일 합동으로 SAF 확산 정책을 발표한다. 발표는 안덕근 산업부 장관과 박상우 국토부 장관이 직접 나선다. 정책 발표 후에는 인천국제공항에서 국내 정유사들이 생산한 SAF를 대한항공 항공기에 급유하는 행사도 진행된다.
이번 정책에는 국내 SAF 시장의 저변 확대를 위한 지원책이 담기는 게 핵심이다.
특히 최소한의 SAF 사용 비율 목표치가 포함될 것으로 업계는 조심스럽게 예측하고 있다. 지난해 EU, 일본 등이 연도별 SAF 사용 의무화 계획을 설정해 시장 선점에 나선 상황이다.
우리나라도 글로벌 추세에 뒤처지 않기 위해 중장기 SAF 확산 로드맵을 마련해 의무 규정을 신설할 것으로 관측된다.
SAF는 화석연료가 아닌 폐식용유, 동·식물성 기름 등 바이오 연료로 생산한 항공유를 항공기에 탑재해 정유·항공업계의 탄소중립 달성 대안으로 꼽힌다. SAF는 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이는 효과가 있다.
현재 SAF 생산을 준비하고 있는 정유사들은 정부의 이번 로드맵 발표가 국내 SAF 시장을 확대하는 마중물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그동안은 국내 SAF 사용 의무 규정이 없는데다 비싼 가격 탓에 항공사들도 비용 부담을 느껴 자발적 구매가 쉽지 않았다. 향후 사용 의무 규정이 도입되면 일정 수요가 보장된다는 측면에서 정유사들이 향후 생산량 목표치를 상향하고, 사업을 본격화 할 수 있을 것이란 입장이다.
다만 초반 SAF 사용 목표 수준과 정유사들의 공급 가능 여부가 관건이다. 아직까지 국내에 SAF를 생산할 수 있는 전용 시설이 없어, 정유사들은 기존 원유 정제시설을 일부 개조해 SAF를 생산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SAF 의무화는 글로벌 탄소중립 기조에 맞춰 국내 에너지 시장이 확대되는 기회"라면서도 "다만 생산 설비 구축, 세액 공제 등 당근책과 함께 가야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