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장은 생산자가 배출한 메탄에 따라 소비자에게도 제재가 돌아갈 수 있어 한국도 공급망을 재고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에너지 수입(기업에 해당되는 사안)이라 그래서 한국가스공사만 봤는데 포스코에너지, SK E&S, GS EPS 등 직수입하는 에너지 기업들도 많아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김 총장은 지적했다.
이어 “이제 그런 기업들도 내가 수입하는 가스가 잘 관리되고 있는 가스인가를 검토하고 수입해와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산화탄소와 마찬가지로 메탄 감축 실적을 통해 기업이 혜택을 받는 상황도 나올 수 있다.
김 총장은 "메탄 감축을 실적으로 인정받아 혜택을 받은 사례도 실제로 있었다"며 "대체로 자발적 탄소 시장처럼 유정이나 새는 가스 파이프를 막아서 인정받았다"고 언급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미국 정유 대기업 엑손모빌이 있다. 엑손모빌은 지난해 1월 미국 퍼미안 분지 일대에서 운영하는 가스전과 유전을 개선해 새는 천연가스를 막아 미국 정부로부터 이를 감축 실적으로 인정받았다.
당시 로이터와 가디언 등 외신들은 감축 실적과 천연가스 생산량 증대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조치라고 평가했다.
김 총장은 "운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출만 잡아도 여기서 감축할 수 있는 메탄이 엄청 많다"며 "이를 통해 기업들이 더 이득 볼 수 있는 부분이 많다"고 말했다.
"실제로 설비 투자 비용과 유출 방지를 통해 얻은 가스 판매 비용이 더 크다"며 김 총장은 "여기에 지구온난화 대응 비용까지 포함하면 가스 유출 방지로 얻을 수 있는 이득이 투자 비용 대비 압도적으로 많다"고 설명했다.
LNG(액화천연가스)가 주로 활용되는 분야인 선박 분야 역시 메탄 규제의 영향을 받는다.
선박에서 유출을 통한 온실가스 영향력은 그동안 과소평가되곤 했다. 구성 성분의 80~90%가 메탄인 천연가스 특성상 운송 과정에서 새어나가면 그대로 온실가스 배출이 되는데도 이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수단도 기관도 없는 상황이다.
그런데도 한국에서 LNG 선박은 '친환경 선박'으로 꼽히곤 한다. 해운 부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연료 중 이산화탄소 배출이 가장 적은데다 기존 석유 기반의 선박 연료 대비 황산화물(SOx) 배출이 거의 없다는 이유다.
김 총장은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보통 선박에서 사용되는 LNG의 온실가스를 측정할 때 탱크 투 웨이크(Tank to Wake) 그러니까 선박 운영에서 나오는 가스만을 고려한다"며 "이렇게 보면 LNG를 사용한 선박은 기존 벙커C유 등을 사용한 선박보다 25% 적은 온실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에 친환경이 맞다"고 말했다.
이어 "다만 그게 웰 투 웨이크(Well to Wake) 즉 유정에서 사용까지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출을 감안하면 대단히 친환경은 아니라는 의견이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영국 런던 대학에서 지난해 3월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2022년에만 1천 건이 넘는 메탄 대량 유출이 발생했고 최대 이산화탄소 729기가톤에 준하는 온실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됐다.
그래도 “연료통을 바꿔서 LNG선박으로 바꾸는 건 굉장히 중요하다"고 김 총장은 평가했다. “액화천연가스는 결국 다음 단계인 암모니아나 수소 같은 친환경 연료를 활용할 수 있는 배를 새로 제작하기 위한 전환 과정의 일환으로 봐야 한다"는 것이다.
김 총장은 “선박 부문은 특히 탄소중립이 어려운 분야라 대체 수단이 아직 본격적으로 나오고 있지 않은 상황”이라면서 "국제해사기구가 액화천연가스로 바꾸려는 시도를 존중하고 노력한 부분은 인정을 하되 기업들이 그린워싱으로 가지 않기 위한 접점은 무엇인지 더 고민해보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