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한국온실가스검증협회
  • association
  • newsplaza
  • dataplaza
  • discussionplaza
  • community
  • 공지사항
  • 협회소식
  • 회원소식
  • 검증관련 뉴스
  • 교육신청게시판
  • 관련 입찰정보
  • 뉴스레터

1조 기후펀드 조성… 해상풍력 집중 육성한다

◆당국·6개 은행, 이달중 MOU
           文정부서 말썽빚은 태양광은 배제
     尹정부 대표펀드로 육성 방침
       해상풍력발전 건설 6~7년 걸려
        7년 이상 운용 프로젝트로 구상
        투자처 발굴·관제논란 극복 숙제




사진 설명


국내 6개 은행이 공동 출자해 1조 2000억 원 규모의 기후대응펀드를 만든다. 이 펀드는 지난 문재인 정부에서 논란이 됐던 태양광은 제외하고 해상풍력 분야를 중심으로 집중 투자하게 된다.

7일 투자은행(IB) 업계와 금융 당국에 따르면 신한·KB국민·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금융지주 산하 시중은행과 산업은행 등 6개 은행은 금융 당국과 2월 중 기후펀드 조성 업무협약(MOU)을 체결할 예정이다. 익명의 한 관계자는 “해상풍력을 핵심으로 한 그린 프로젝트에 투자하고 일회성이 아닌 계속 사업으로 추진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처럼 공동 펀드를 조성하게 된 배경에는 기업의 신재생에너지 설비투자 확대가 있다. 기후펀드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기업에 모험자본이 원활히 흘러들어가게끔 만들어 탄소 중립을 완성하겠다는 구상이다.
현재 금융권에서는 펀드 구조와 목표 수익률, 운용사 선정과 투자 가이드라인 등을 짜는 작업이 진행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각 은행이 금융지주 자산운용사를 통해 출자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모펀드 조성과 운용 방안이 확정되면 은행별로 투자심의위원회를 거쳐 승인 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운용 기간 7년 이상의 장기 프로젝트로 구성하는 것은 통상 해상풍력발전 건설이 6~7년 정도 걸리기 때문이다.

정권이 바뀌면 사라질 수 있다는 우려를 해소하기 위한 측면도 있다. 금융권의 한 고위 관계자는 “운용사의 과거 실적을 보고 자금 운용을 맡길 텐데 어느 영역에 투자를 할지, 비용을 감안한 목표 수익을 어떻게 달성할지에 대해 내부 투자위원회에서 본격적으로 검토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상풍력발전의 경우 바람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단점이 있지만 국토가 좁고 3면이 바다인 우리나라에서는 성장 잠재력이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윤석열 정부에서도 해상풍력에 공을 들이면서 바다에 인접한 각 지방자치단체들 역시 해상풍력단지 조성에 뛰어들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과거 녹색성장펀드처럼 기후펀드를 윤석열 정부의 대표 펀드로 만들겠다는 취지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기본 계획대로라면 2034년 기준 신재생에너지에서 풍력발전 비중은 35.1%(해상풍력 27.5%, 육상풍력 7.6%)로 높아진다.

산업통상자원부가 곧 발표할 11차 전력수급 기본 계획에서도 풍력발전 비중을 높이는 방안이 유력하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에 따르면 해상풍력 용량은 2020년 34GW(기가와트)에서 2030년에는 228GW로 확대되고 2050년에는 1000GW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해상풍력 설치·발전에 들어갈 누적 투자액은 2조 7500억 달러(약 3500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태양광의 경우 문재인 정부에서 대출 부실 등 각종 의혹이 끊임없이 제기돼 가급적 배제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았다.

다만 해상풍력에만 중점 투자하면 자금이 다 못 들어갈 수 있다는 우려도 없지 않다. 구체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프로젝트를 사전에 찾아야 한다는 얘기다. 그런 맥락에서 MOU부터 우선 체결하는 점도 우려되는 대목이다. 구체적인 투자처를 발표하고 자금 확보 계획을 수립한 뒤 투자자 모집과 홍보에 나서는 일반적인 수순과는 다르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정부의 의지는 강하나 세부 사항으로 들어가면 협의해야 할 사안이 넘친다”며 “실행 단계에서는 쉽지 않은 부분도 많고 투자처를 다 찾지 못할까 하는 걱정도 있다”고 말했다.

투자할 경우 자기자본비율(BIS)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은행으로서는 부담스러운 부분도 있다. 테마 펀드는 종종 시장 수익률과 격차를 보일 때도 있어 민간자금을 유인하기 위한 수익률도 숙제다.

은행권이 주축이 돼 만들어지는 펀드지만 ‘관제 펀드’ 논란을 극복할 수 있을지도 관건으로 꼽힌다. 금융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는 윤석열 정부의 특성상 5대 금융지주는 일단 정부의 의지대로 따라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총선 전에 기후펀드 조성 계획 발표가 예정돼 있는 점도 정무적 판단이 깔려 있다는 분석이다.

앞서 이명박 정부의 녹색성장펀드, 박근혜 정부의 통일펀드, 문재인 정부의 뉴딜펀드·소부장펀드 등 정권마다 핵심 사업을 뒷받침할 관제 펀드를 만들었으나 ‘펀드 포퓰리즘’ 등의 뒷말이 무성했다. 녹색성장펀드의 경우 녹색중소기업에 안정적으로 자금을 공급한다는 취지였는데 ‘녹색기업이 무엇이냐’는 식으로 초창기 투자처가 불분명했다.

실제 문재인 정부에서 금융위원회는 ‘금융권을 동원해 관제 펀드를 만들었다’는 지적에 대해 ‘뉴딜펀드 관련 7문 7답’ 보도 자료를 통해 “유동성이 늘어나고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금융회사도 투자할 곳이 마땅치 않은 상황이며 다수의 금융회사가 디지털·그린 등 뉴딜 분야를 ‘새로운 기회’로 인식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뉴딜펀드의 경우 3조 원의 재정을 투입해 정책형 펀드 20조 원을 조성했고 재정이 후순위 위험 부담 역할을 하면서 논란이 컸다. 특히 뉴딜펀드의 누적 투자 집행률은 2021년 35.7%에서 정권이 바뀐 2022년에는 10.7%로 하락했다.



 황정원 기자  garden@sedaily.com (서울경제, 2024. 2. 8)
조회 수 :
251
등록일 :
2024.02.16
14:44:07
엮인글 :
http://www.kovaghg.or.kr/kova/2365020/4f4/trackback
게시글 주소 :
http://www.kovaghg.or.kr/kova/2365020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0 [인터뷰] 기후변화센터 사무총장 김소희 "탄소만큼이나 강한 메탄 규제 온다" 관리자 2024-02-16 244
» 1조 기후펀드 조성… 해상풍력 집중 육성한다 관리자 2024-02-16 251
58 그린수소 대량생산 길 연다… '대면적 광전극 모듈' 개발 관리자 2024-02-16 2274
57 항공사 탄소배출량 의무 보고해야… 허위 보고시 제재도 관리자 2024-02-16 245
56 [기고] 자발적 탄소시장 전망과 과제 관리자 2024-02-01 277
55 임박한 EU CBAM 보고에 비상등 켜진 기업… 무역협회, 핵심실무 가이드 제공 관리자 2024-02-01 268
54 EU·미국 '탄소장벽'에 적극 지원… 고부가가치 산업 활성화 관리자 2024-02-01 229
53 올 연말 2035 NDC나온다… 고효율·친환경 전기차엔 보조금 '더' 관리자 2024-02-01 243
52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손질 예고… 예상배출량→절대량 변경 검토 관리자 2024-01-19 340
51 국내 배출권거래제 문제점, ‘거래부진‧부적절한 가격신호’ 관리자 2024-01-19 307
50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0만 되면, 기후위기 막을 수 있을까 관리자 2024-01-19 247
49 "북한과의 협력 통한 온실가스 국외 감축목표 달성 입법 필요하다" 관리자 2024-01-08 290
48 4000억 투입하는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경제성 확보 관건” 관리자 2024-01-08 245
47 효율 높이고 신재생 늘리고... 도쿄의 '친환경건물' 만들기[기후와 건물-도쿄편] 관리자 2024-01-08 415
46 국내연구진 '탄소제로' 액체연료전지 성능 높이는 촉매 개발 관리자 2023-12-22 251
45 "현재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1천400만년 만에 최고 수준" 관리자 2023-12-22 279
44 EU 규제당국, 기술적 세부규칙(RTS) 발표… 사회적 지표와 공시 템플릿 변경 관리자 2023-12-08 288
43 WMO "2011∼2020년 지구가 가장 더웠던 10년… 온난화 극적 가속" 관리자 2023-12-08 457
42 “2050년까지 세계 원자력에너지 3배로 확대” 관리자 2023-12-08 302
41 [기고] 전 지구적 이행점검, 기후위기 극복의 계기 관리자 2023-12-08 314
  • 우편번호 08504 서울특별시 금천구 서부샛길 606, 대성디폴리스 A동 2406-1호
    Tel. 02-2038-3666~8   Fax.02-2038-3665   Email.service@kovaghg.or.kr
  • 사업자등록번호 119-82-09499
  • 본 웹사이트는 보안이 약한 IE6.0이하버전을 지원하지 않습니다. 여기를 클릭해서 업그레이드 해주세요.
  • 본 웹사이트에 수록된 모든 내용은 (사)한국온실가스검증협회의 소유로 대한민국 저작권보호법에 의해 보호 받고 있습니다
  • Copyright(c) KOVA All rights reserved 2012. Powerd by DesignAZ